본문 바로가기
기타 소식

메시징 앱 보안 비교: Signal, WhatsApp, Telegram

by Padawan Joy 2025. 1. 10.

FBI와 미국 사이버 방어 기관(CISA)이 최근 완전한 종단 간 암호화(end-to-end encryption)를 갖춘 메시징 플랫폼 사용을 권고하면서, 메시징 앱의 보안성과 데이터 수집 방식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인기 메시징 앱들의 데이터 수집 방식과 추천 플랫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메시징 앱 보안: 데이터를 보호해야 하는 이유

현대 메시징 앱은 사용자 간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주로 두 가지 방식으로 처리합니다. 하나는 종단 간 암호화(end-to-end encryption)이고, 다른 하나는 메타데이터(metadata)를 수집 및 분석하는 방식입니다. 이 두 가지 개념의 차이를 이해하면 메시징 앱을 선택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종단 간 암호화란?

종단 간 암호화는 메시지 콘텐츠를 주고받는 사용자끼리만 볼 수 있도록 하는 보안 방식입니다. 서버나 중간 과정에서는 암호화된 상태로 데이터가 전달되며, 이를 해독하려면 사용자 장치에 있는 키가 필요합니다. 이 기술을 구현한 대표적인 앱으로는 Signal, WhatsApp, 그리고 Apple 기기 간의 iMessage가 있습니다.

메타데이터란?

반면 종단 간 암호화를 사용하더라도 메타데이터는 여전히 수집될 수 있습니다. 메타데이터는 메시지 내용이 아닌 다음과 같은 데이터를 포함합니다.

  • 누구와 메시지를 주고받았는지
  • 메시지를 주고받은 시간
  • 메시지가 오간 위치 정보

메타데이터는 사용자 네트워크와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데 유용하며, 때로는 메시지 내용만큼이나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메타데이터 수집 여부는 앱 선택 시 중요한 고려 요소가 됩니다.

대표 메시징 앱의 보안 비교

현재 사용 가능한 주요 메시징 앱들은 보안 및 데이터 수집에 있어 서로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각 앱의 주요 특징을 살펴봅니다.

Signal: 프라이버시 중심의 선택

Signal은 사용자가 남기는 메타데이터를 최소화하는 데 초점을 맞춘 앱입니다. 메타데이터 수집이 거의 없으며, 사용자 데이터는 철저히 보호됩니다. CISA가 권장한 바와 같이, 프라이버시에 민감한 사용자라면 Signal이 가장 안전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WhatsApp: 대중적인 선택지

WhatsApp은 대부분의 개인 사용자들에게 적합하며, 종단 간 암호화 덕분에 메시지 내용은 안전하게 보호됩니다. 하지만 Meta와 연결된 플랫폼이기 때문에 일부 메타데이터가 수집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래도 일상적인 사용에는 여전히 추천할 만한 플랫폼입니다.

Telegram: 의외의 논란

Telegram은 과거 프라이버시 보호를 강조했던 앱이지만, 최근 변경된 정책으로 인해 사용자의 IP 주소 및 전화번호를 법적 요청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고 명시했습니다. 또한 Telegram의 기본 채팅은 종단 간 암호화가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메시징 앱 선택 시 고려할 점

1. 앱의 암호화 수준 확인

앱이 종단 간 암호화를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앱이 중앙 서버나 제3자가 사용자의 메시지 내용을 열람할 수 없도록 보장합니다.

2. 메타데이터 수집 정책

메타데이터가 얼마나 수집되고 어디에 활용되는지 확인하세요. 특히 사용자 네트워크 분석이나 광고 목적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앱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앱 스토어 리뷰와 개인정보 처리방침 점검

모든 메시징 앱은 Apple의 App Store나 Google Play에서 데이터 수집 및 공유 내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게시합니다. 이러한 정보를 꼼꼼히 읽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무리하며

메시징 앱의 보안은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SignalWhatsApp 같은 플랫폼은 종단 간 암호화와 메타데이터 최소 수집으로 비교적 높은 보안을 제공합니다. 반면, Telegram과 SMS 같은 옵션은 보안 측면에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자신의 필요와 사용 패턴에 맞는 앱을 선택하고, 데이터 수집 정책을 확인하는 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